감정 결핍에서 공감의 꽃을 피우다 – 『아몬드』 속 인간성 탐구

이미지
손원평의 소설 『아몬드』는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소년 '윤재'가 세상과 마주하며 점차 공감과 사랑을 배워가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감정 결핍이라는 독특한 설정을 통해 인간성의 본질, 특히 공감 능력의 중요성을 조명하며, 독자에게 깊은 울림을 선사한다. 1. 감정이 없는 주인공, 윤재를 통해 드러나는 인간의 본성 손원평 작가의 『아몬드』는 매우 특이한 설정으로 시작한다. 주인공 윤재는 편도체가 작아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병을 앓고 있다. 보통의 사람이라면 두려움, 분노, 기쁨과 같은 감정에 반응하지만, 윤재는 그러지 못한다. 겉으로 보기엔 차분하고 침착한 성격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감정을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다. 이 설정은 소설의 긴장을 만들어내는 가장 큰 장치이자, 독자들이 윤재의 이야기에 몰입할 수 있도록 돕는 중심축이 된다. 감정은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중요한 요소다. 그러나 『아몬드』는 감정이 결핍된 인물을 통해 오히려 인간 본연의 정체성을 되묻게 만든다. 윤재는 감정이 없지만 그 속에서도 도덕과 책임, 그리고 인간다움에 대해 고민하며 살아간다. 이 점은 단순히 윤재를 ‘감정이 없는 괴물’로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섬세하고 진중하게 인간 내면을 조명하려는 작가의 시도를 보여준다. 이러한 시선을 통해 작가는 독자에게 감정이라는 것이 반드시 눈물과 웃음, 분노와 같은 외적인 반응만으로 설명될 수 없다는 메시지를 던진다. 감정을 느끼지 못해도 인간은 배울 수 있고, 변화할 수 있으며, 결국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사랑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아몬드』는 인간 본성의 또 다른 가능성을 제시한다. 2. 상처와 만남, 그리고 변화의 여정 윤재의 삶에 가장 큰 전환점이 되는 사건은 어머니와 할머니가 한꺼번에 사고를 당하며 세상을 떠난 후부터다. 평생 윤재를 보호하며 살아왔던 두 사람이 사라진 순간, 윤재는 처음으로 외부 세계에 던져진다. 더 이상 보호받는 존재가 아니라 스스로 세상과 마주해야 하는 존재로서, 윤재의 내면은 그제서야...

셰익스피어의 『햄릿』에서 인간 실존의 고민 분석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햄릿』은 단순한 복수극이 아니라 인간 실존의 문제를 깊이 탐구하는 작품이다. 햄릿이 겪는 갈등은 단순한 감정적 고민이 아니라, 존재와 비존재, 자유와 운명, 선택과 책임 사이에서 실존적 결정을 내려야 하는 인간의 숙명과도 같다. 이 글에서는 『햄릿』에서 드러나는 실존적 고민을 분석하고, 이를 철학적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한다.

세익스피어 햄릿


1. "To be, or not to be" – 존재에 대한 근본적 질문

햄릿의 가장 유명한 대사인 **"To be, or not to be, that is the question"**은 실존적 고민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구절이다. 그는 삶과 죽음 사이에서 무엇이 옳은지 끊임없이 고민한다. 현실에서의 고통을 감내하며 살아야 하는가, 아니면 죽음을 통해 이 모든 갈등을 끝내야 하는가? 그러나 죽음이 과연 끝일 것인가? 햄릿은 사후 세계의 불확실성 앞에서 망설이며, 실존주의적 공포 속에서 선택의 무게를 실감한다. 이는 사르트르와 하이데거가 주장한 실존적 불안과 연결된다. 인간은 본질이 정해진 존재가 아니라 스스로 존재를 만들어가야 한다. 하지만 선택의 자유에는 책임이 따른다. 햄릿은 선택의 기로에 서 있지만, 그 책임을 감당하기 어려워하며 끝없는 망설임에 빠진다.


2. 자유와 운명 사이에서 – 실존적 선택의 어려움

햄릿은 아버지를 살해한 클로디어스를 복수해야 하는 운명을 짊어지고 있다. 그러나 그는 단순한 분노에 의한 복수를 택하지 않는다. 그는 인간의 도덕성과 윤리에 대한 깊은 고민을 한다. 살인은 신의 뜻에 어긋나는 것이며, 복수가 반드시 정의로운 행위인지 확신할 수 없다. 복수를 실행하는 순간, 그는 또 다른 살인자가 되며, 자신 역시 죽음과 죄책감에서 자유로울 수 없음을 알고 있다. 이런 고민은 실존주의 철학에서 말하는 "행동의 자유와 도덕적 책임" 문제와 맞닿아 있다.

햄릿의 갈등은 인간이 자신의 존재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지만, 그 결과에 대한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점을 보여준다. 사르트르는 인간이 “자신의 선택에 의해 존재를 창조하는 존재”라고 보았고, 키르케고르는 “절망은 자유로운 선택의 결과”라고 말했다. 햄릿은 절망 속에서도 자신만의 결정을 내리려 하지만, 끝까지 완전한 선택을 하지 못한다.


3. 죽음과 실존적 불안

햄릿에게 죽음은 단순한 소멸이 아니라, 새로운 차원의 존재적 고민을 불러일으킨다. 그는 요릭의 두개골을 보며 인간의 덧없음을 깨닫고, 무덤을 파는 장면에서 삶의 무상함을 절감한다. “알렉산더 대왕도 결국 먼지가 되어 흙이 된다”는 깨달음은 인간이 얼마나 허무한 존재인지 상기시킨다. 하이데거는 인간이 죽음을 의식할 때 비로소 자신의 존재를 온전히 자각한다고 보았다. 햄릿이 죽음을 묵상하는 장면은 그의 실존적 불안을 여실히 보여준다.

그러나 햄릿은 죽음을 앞두고도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해 행동한다. 그는 클로디어스를 향한 복수를 실행하면서, 비로소 자신의 존재를 완성하려 한다. 죽음을 두려워하면서도 필연적으로 맞이해야 하는 실존적 숙명 앞에서, 햄릿은 주어진 운명을 받아들이고 행동하는 인간으로 변화한다.


4. 결론: 햄릿은 실존주의적 인간인가?

햄릿은 실존적 불안과 갈등을 겪지만, 끝까지 자신의 선택을 확신하지 못하는 인물이다. 그는 행동과 망설임 사이에서 끊임없이 흔들리며, 실존적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존재로 남는다. 이는 실존주의 철학에서 말하는 인간의 본질적인 한계를 보여준다.

결국 햄릿은 실존주의적 인간이다. 그는 끊임없이 자기 자신을 탐구하며, 삶과 죽음, 자유와 운명, 선택과 책임 사이에서 방황한다. 하지만 그는 자신의 실존을 끝까지 완성하지 못하고,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한다. 셰익스피어는 『햄릿』을 통해 인간이 스스로 자신의 존재를 창조해야 한다는 실존주의적 메시지를 던진다.

햄릿의 고민은 곧 우리 모두의 고민이다. 우리는 모두 각자의 “To be, or not to be” 순간을 살아가고 있으며, 실존적 선택의 무게를 감당하며 존재를 만들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