톨스토이가 말하는 ‘진짜 삶’이란 무엇인가 – 『이반 일리치의 죽음』 읽기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이반 일리치의 죽음』은 러시아의 대문호 톨스토이가 죽음을 직면한 인간의 내면을 통해 삶의 본질을 탐구한 작품이다. 사회적 성공에 매몰된 주인공이 죽음을 맞으며 진정한 삶이 무엇이었는지를 비로소 자각하는 과정을 통해, 독자에게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1. 사회적 성공은 삶의 진실인가 – 이반 일리치의 생애
이반 일리치는 러시아 귀족 사회에서 전형적인 ‘성공한 삶’을 살아온 인물이다. 성실하고 효율적인 태도로 법관으로서의 지위를 얻었고, 결혼을 통해 사회적으로도 안정된 가정을 이뤘으며, 물질적으로도 부족함 없는 삶을 누렸다. 그는 자기 삶이 타인의 기준에서도 모범적이라 믿었고, 그 믿음 속에서 안정감과 만족을 느꼈다. 그러나 어느 날 느껴지는 사소한 통증이 암이라는 절망적 진단으로 이어지며, 그의 세계는 무너진다. 의학의 발전이나 주변 사람들의 태도는 그의 불안을 달래주지 못한다. 오히려 죽음 앞에서 느끼는 고립감은 그의 ‘성공한 인생’이 얼마나 허망한 외형에 불과했는지를 깨닫게 만든다.
톨스토이는 이반 일리치의 삶을 통해 ‘사회적으로 성공한 삶’이 반드시 ‘의미 있는 삶’은 아님을 강조한다. 겉으로 보기에 아무 문제 없어 보였던 삶도, 죽음을 앞두고 나서야 비로소 그 공허함과 위선을 자각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반은 자신이 타인과의 진정한 관계보다는 체면과 이익을 우선시하며 살아왔음을 고백하게 된다. 진정한 삶은 외적 성공이 아니라 내면의 진실과의 조화에 있다는 메시지를, 이반 일리치의 고통과 고뇌를 통해 강하게 전달한다.
2. 죽음 앞에서 드러나는 인간 존재의 실상
『이반 일리치의 죽음』에서 톨스토이는 죽음을 단순한 생물학적 사건이 아니라 인간 존재 전체를 흔드는 본질적 체험으로 그려낸다. 주인공 이반은 죽음이 다가올수록 점점 자신의 삶을 돌아보게 되고, 그동안 외면해왔던 내면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게 된다. 그는 자신이 늘 ‘정상’이라 여겼던 삶이 사실은 ‘그릇된 삶’이었다는 점을 인식하게 되고, 그 인식의 고통이 육체적 고통보다도 더 뼈아프게 다가온다.
이반은 처음엔 자신의 병을 부정하고, 분노하며, 타협하려 하지만, 결국 그 모든 시도가 무의미하다는 것을 깨닫는다. 이 과정은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가 말한 죽음 수용의 5단계(부정, 분노, 협상, 우울, 수용)와도 닮아있다. 결국 그는 죽음이라는 거대한 벽 앞에서 자아의 껍질을 벗고 인간 본연의 모습, 즉 두려움에 떠는 나약한 존재로 남는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그 순간에 이반은 처음으로 ‘진실한 삶’을 깨닫고 받아들이게 된다. 그것은 사랑이며, 타인에 대한 연민이자, 더 이상 자기 자신만을 위한 삶이 아닌 전인적 통찰을 동반한 삶이다.
톨스토이는 죽음을 통해 인간 존재의 진실이 드러난다고 말한다. 그것은 고통스럽고 외면하고 싶지만, 반드시 마주해야 할 통과의례 같은 것이다. 이반 일리치가 맞이한 마지막 순간은 죽음이 끝이 아니라, 오히려 삶의 진실로 가는 문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3. 진짜 삶을 위한 자각 – 독자에게 던지는 철학적 질문
『이반 일리치의 죽음』은 단순한 죽음의 이야기나 개인의 비극에 그치지 않는다. 오히려 이 작품은 독자에게 깊은 철학적 질문을 던지는 도전장이다. “당신의 삶은 진실한가?”, “지금 살아가는 방식이 과연 옳은가?”, “우리는 왜 죽음을 두려워하면서도 삶을 제대로 살지 못하는가?”와 같은 물음은 단순히 문학적인 감상이 아니라, 독자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게 만드는 성찰로 작용한다.
작품 속 이반은 죽음이 다가올수록 그동안의 삶이 누군가의 기준에 맞춘 삶이었음을 자각하게 된다. 이는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유효한 문제의식이다. 오늘날 우리는 성공, 성취, 인정이라는 외적 기준에 맞춰 살아가며, 내면의 목소리를 무시한 채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톨스토이는 그러한 삶의 방식에 대해 경고하며, 진정한 삶은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삶, 다시 말해 자기 삶에 대한 책임과 자각이 있는 삶임을 강조한다.
『이반 일리치의 죽음』은 우리 모두에게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안긴다. 그 고민은 단지 문학 작품을 읽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매일의 삶에서 실천하고 사유해야 할 철학적 과제이다. 결국 진짜 삶이란 죽음을 인식하고, 그것을 두려움이 아닌 통찰의 계기로 삼을 수 있을 때 시작된다. 톨스토이의 문장은 바로 그 지점에서 깊은 울림을 남긴다.
결론 – 죽음을 통해 다시 태어난 삶의 의미
『이반 일리치의 죽음』은 단순히 죽음의 과정이나 병상에 누운 한 인간의 고통을 그린 소설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삶이 얼마나 쉽게 사회적 관습과 외형적 성공에 휘둘릴 수 있는지를 폭로하고, 그 안에서 우리가 어떤 방식으로 살아가야 할지를 묻는 작품이다. 이반 일리치는 죽음 앞에서야 비로소 자신의 삶을 돌아볼 수 있었고, 마지막 순간에야 진정한 삶의 가치를 발견하게 되었다. 삶을 되돌아보는 그 짧은 시간 동안 그는 두려움을 넘어 연민과 사랑이라는 인간 본연의 감정을 체득하게 되었다. 톨스토이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진짜 삶이란 결국 자신에게 정직하고 타인에게 따뜻한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는 것임을 전달하고자 했다.
현대인의 삶도 이반 일리치와 크게 다르지 않다. 끊임없는 경쟁, 인정욕구, 외형적 성공에 집중하다 보면 어느새 우리는 내면의 소리를 잃고 진짜 삶에서 멀어질 수 있다. 『이반 일리치의 죽음』은 그 점을 환기시키며, 죽음을 통해 삶의 진실에 다가가게 만드는 소설이다. 이 작품을 통해 독자들이 자기 삶을 돌아보고, 진실한 존재로서 살아가기 위한 작은 시작을 할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이 소설은 충분히 가치 있는 고전이라 할 수 있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