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의 붕괴, 인간성의 재발견 – 『눈먼 자들의 도시』 분석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눈먼 자들의 도시』는 시각을 잃은 사람들이 격리되며 벌어지는 혼란과 생존의 과정을 통해 인간의 본성과 도덕성, 집단 심리의 양면성을 날카롭게 고찰한 작품이다. 도덕이 해체된 공간에서 발현되는 인간다움은 무엇이며, 우리는 이 상황 속에서 어떤 선택을 할 수 있을까.
1. 문명과 도덕이 무너질 때 드러나는 본성
『눈먼 자들의 도시』는 갑작스러운 시력 상실이라는 전염병적 재난을 통해 문명의 기반이 얼마나 취약한지 드러낸다. 이 작품에서 사람들은 눈이 멀자마자 사회적으로 고립되고 정부는 그들을 한 장소에 격리해 버린다. 그 장소는 마치 감옥과도 같은 곳으로, 더 이상 법과 질서가 통용되지 않는 세계다. 그 속에서 사람들은 처음에는 어설프게나마 질서를 유지하려 애쓰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생존을 위해 서로를 경계하고, 결국 폭력과 이기주의가 지배하는 공간이 된다. 이러한 상황은 인간이 문명의 껍질 아래에 감추고 있는 본성을 가차 없이 드러낸다. 남의 것을 빼앗고, 여성의 몸마저 거래 수단으로 삼는 모습은 단지 극단적인 허구가 아니라, 실제 인간 사회에서 위기가 닥쳤을 때 자주 나타나는 모습이다. 사르마구는 이처럼 인간이 문명이라는 외피를 벗었을 때 얼마나 쉽게 도덕을 포기할 수 있는지를 냉철하게 보여준다. 그는 독자들에게 묻는다. “당신은 저 상황 속에서도 인간다움을 지킬 수 있는가?” 이러한 질문은 단지 픽션에 그치지 않고, 우리가 사는 현실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윤리적 고민을 불러일으킨다. 도덕은 강요되는 것인가, 아니면 내면에서 스스로 지켜야 하는 것인가.
2. 집단 이기주의와 도덕의 경계선
작품 속 사람들은 ‘함께 격리된 동료’가 아니라 ‘경쟁자’로 서로를 바라보기 시작한다. 그 변화는 물자와 식량이 제한되면서 급격히 가속화된다. 자신이 살기 위해서 남을 해치거나 침묵하는 것이 합리화되는 상황, 그것이 바로 집단 이기주의의 실체다. 사르마구는 이 소설을 통해 집단이 어떻게 도덕을 왜곡할 수 있는지를 지적한다. 극단적인 상황에 놓인 사람들은 집단을 통해 심리적 안정을 얻기도 하지만, 동시에 집단은 개인의 도덕적 판단을 마비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권력 구조가 무너진 장소에서 한 무리의 남성들이 식량을 장악하고, 성적 착취를 감행하는 장면은 집단의 폭력이 어떻게 개인의 양심을 묵살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전형적인 예다. 더불어 방관자들의 침묵은 집단 속 도덕적 책임이 어떻게 분산되고 흐려지는지를 드러낸다. 모두가 가해자는 아니지만, 누구도 피해자가 아닐 수 없는 구조. 사르마구는 이 모순을 날카롭게 비판하면서 인간 사회의 도덕이 얼마나 쉽게 허물어질 수 있는지를 드러낸다. 결국 그는 집단 속에서 도덕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그 집단 안의 ‘의식 있는 개인’의 존재가 필수적임을 암시한다.
3. 도덕성의 마지막 보루로서의 개인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소설은 절망만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눈먼 자들 속에서 유일하게 시력을 유지한 ‘의사의 아내’는 인간성이 파괴된 공간 속에서도 끝내 도덕성을 지키려는 인물이다. 그녀는 시력을 감추며 모두와 함께 고통을 겪고, 무너진 질서 속에서도 약자를 보호하려 한다. 그녀의 존재는 이 소설에서 도덕의 마지막 보루로 기능하며, 인간이 선택적으로 도덕적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사르마구는 그녀를 통해 인간이 본성적으로 이기적일 수밖에 없지만, 동시에 그 이기심을 극복하려는 의지도 존재함을 보여준다. 그녀의 행동은 강요된 영웅주의가 아니라, ‘함께 살기 위한 최소한의 책임감’에서 출발한다. 이는 오늘날 우리가 공동체 안에서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에 대한 중요한 화두이기도 하다. 집단이 도덕을 왜곡할 수 있다면, 개인은 오히려 도덕의 회복을 가능하게 만드는 핵심 주체가 된다. 그녀는 끝내 눈먼 이들을 이끌고 병원을 탈출하고, 새로운 삶의 공간을 만들어내며 소설은 희미하지만 분명한 희망의 메시지를 남긴다. 사르마구는 개인의 윤리적 선택이 공동체 전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시적으로 표현한다. 『눈먼 자들의 도시』는 그러한 개인의 용기와 도덕성을 통해 끝내 인간의 가능성을 이야기한다.
결론
『눈먼 자들의 도시』는 문명이라는 이름 아래 감춰졌던 인간의 본성과 도덕의 실체를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작품이다. 이 소설은 단순한 디스토피아가 아니라, 우리가 일상에서 무심코 지나쳤던 도덕적 선택의 문제를 정면으로 마주하게 한다. 사르마구는 눈이 멀어버린 사람들을 통해 우리가 얼마나 외부의 기준에 의존해 살아왔는지를 드러내고, 그 기준이 사라졌을 때 우리는 진정 어떤 선택을 하게 될지를 묻는다. 그 속에서 우리는 집단의 이름으로 무책임해지기도 하고, 개인의 이름으로 도덕을 지켜내기도 한다. 결국 이 소설은 우리가 어떤 상황에서도 인간다움을 잃지 않기 위한 내면의 윤리, 도덕의 실천 가능성을 되새기게 한다. 『눈먼 자들의 도시』는 단지 읽는 책이 아니라, 우리 자신을 되돌아보게 만드는 깊은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 도덕의 붕괴 속에서 오히려 인간성의 본질이 드러나는 아이러니, 그 속에서 우리는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