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보다 더 깊은 고뇌, 『인간의 굴레』가 말하는 삶의 무게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서머싯 몸의 대표작 중 하나인 『인간의 굴레』는 예술가의 삶을 조명한 『달과 6펜스』와 달리, 인간 존재 자체의 고통과 의미를 파고든다. 이 소설은 ‘운명’이라는 이름의 굴레를 벗어나려는 주인공 필립의 삶을 통해 자유와 삶의 본질을 성찰하게 한다. 인생의 고통이 결코 헛되지 않음을 깨닫게 하는 작품이다.
1. 『달과 6펜스』를 넘어선 또 하나의 자화상, 『인간의 굴레』
『달과 6펜스』가 실존 예술가 고갱을 모델로 하여 창조와 열정, 도피를 중심으로 전개된다면, 『인간의 굴레』는 훨씬 더 복합적이고 내면적인 인간 군상을 보여준다. 주인공 필립은 태어날 때부터 다리를 저는 신체적 조건을 지닌 채로 삶을 시작한다. 어머니를 잃고, 후에는 외가에서 자라나게 되지만, 이 모든 조건은 그에게 일종의 ‘굴레’가 된다. ‘굴레’란 단어는 제목에서도 암시되듯, 인간이 스스로 선택하지 못한 조건들을 의미한다. 환경, 육체, 경제, 사회적 지위 등 인간은 태어나자마자 자신이 조절할 수 없는 요소에 휘둘리며 살아간다. 『달과 6펜스』 속의 스트릭랜드가 자신의 삶을 예술이라는 환상으로 치환하며 외부의 질서를 거부한 반면, 필립은 삶의 굴곡 속에서 그 모든 조건과 정면으로 부딪히며 살아간다. 그는 회계사가 되려다 실패하고, 예술을 배우려다 좌절하며, 다시 의학도로 진로를 바꾸지만 끊임없이 자신의 ‘무능’과 ‘결핍’을 실감하게 된다. 그가 마침내 도달한 삶의 깨달음은 예술가로서의 영광이 아니라, 인간으로서의 수용과 화해였다. 삶을 향한 반항보다는 삶 자체를 이해하려는 자세가 돋보인다. 그래서 『인간의 굴레』는 『달과 6펜스』보다 더욱 깊은 자기 성찰의 거울이 되는 작품이다.
2. 인간 존재를 구속하는 굴레는 무엇인가
작품 속에서 필립이 직면하는 굴레는 단순히 신체적 조건이나 사회적 계급에 그치지 않는다. 그는 인간관계 속에서도 끊임없는 좌절을 겪는다. 특히 밀드레드와의 관계는 그가 가진 감정의 나약함과 자기파괴적 성향을 여실히 드러낸다. 밀드레드는 필립에게 아무런 애정도 없지만, 필립은 자신의 자존심과 감정을 내던지고 그녀를 집착적으로 사랑한다. 이런 사랑은 합리적이지 않지만, 인간이란 종종 이해할 수 없는 감정에 지배되며 살아간다. 그것이 바로 인간 존재의 굴레다. 자유롭게 생각하고 판단하는 것 같지만, 실상 우리는 욕망과 상처, 과거의 기억에 이끌려 살아간다. 서머싯 몸은 이 굴레를 철학적이지 않게, 오히려 매우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이야기 속에서 풀어낸다. 필립의 모든 선택은 자유로워 보이지만 사실은 수많은 감정적 트라우마와 조건에 얽매여 있다. 작가는 이것을 통해 진정한 자유란 단순히 외적인 조건의 탈피가 아니라, 스스로 자신의 삶을 받아들이고 주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있음을 말한다. 인간은 본질적으로 구속된 존재이지만, 그 굴레를 자각하고 받아들이는 순간 비로소 진정한 자유의 길로 나아갈 수 있다. 이 점에서 『인간의 굴레』는 존재론적 통찰이 담긴 수작이다.
3. ‘자유’는 탈출이 아니라 수용에서 시작된다
『인간의 굴레』의 후반부에서 필립은 모든 실패와 좌절, 심지어 사랑의 파탄까지 경험한 뒤, 다시 소박한 삶으로 돌아온다. 그는 한때 경멸했던 단조롭고 평범한 삶 속에서 뜻밖의 안정과 평화를 느낀다. 이것은 결코 패배가 아니다. 삶을 더 이상 이상화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필립은 굳이 위대해질 필요도 없고, 특별해질 필요도 없다는 것을 깨닫는다. 평범한 직업, 조용한 사랑, 규칙적인 일상이 오히려 그를 자유롭게 한다. 서머싯 몸은 이를 통해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자유’가 오해된 환상임을 지적한다. 자유는 어떤 제약도 없는 상태가 아니라, 제약을 스스로 인식하고 그 안에서 의미를 찾아가는 능력에 더 가깝다. 필립은 결국 결혼을 하고 가정을 꾸리게 되며, 더 이상 어떤 위대한 운명도 추구하지 않는다. 하지만 그 선택은 자신의 경험과 내면의 고통을 통과한 끝에 얻은 깨달음의 결과였다. 진정한 자유는 외부로의 도피가 아니라, 자기 자신과 화해하는 데서 비롯된다는 메시지가 이 작품의 핵심이다. 『달과 6펜스』에서처럼 예술로 현실을 초월하는 길보다, 『인간의 굴레』에서처럼 삶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더 어렵고, 더 성숙한 자유일지도 모른다.
결론
『인간의 굴레』는 우리가 종종 무심코 지나치는 삶의 조건들을 성찰하게 만드는 문학적 힘을 지닌 작품이다. 『달과 6펜스』가 예술이라는 고결한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개인의 집착을 그렸다면, 『인간의 굴레』는 훨씬 더 일상적이고 보편적인 인간의 고통과 방황, 수용의 과정을 그려낸다. 필립의 삶은 특별하지 않다. 오히려 너무나 평범하고, 어딘가 우리 모두의 인생과 닮아 있다. 그렇기에 이 소설이 주는 감동은 더 크다. 인간은 누구나 굴레를 지니고 살아가며, 그것은 운명처럼 보일 수도 있고 때로는 자신이 만든 감정의 덫일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그 굴레를 어떻게 인식하고 대응하느냐에 따라 삶의 무게는 전혀 다르게 다가온다는 점이다. 서머싯 몸은 이 작품을 통해 독자에게 묻는다. 당신은 어떤 굴레를 짊어지고 있고, 그것을 어떻게 견디고 있는가. 그리고 당신에게 진정한 자유란 무엇인가. 이러한 질문은 지금을 사는 우리에게도 여전히 유효하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